1. 형변환
연산 작업(대입연산, 비교연산 등) 중 자료형이 불일치 시 자료형을 일치시키는 작업
형변환 방법 | 설명 |
자동 형변환 (암시적 형변환) | 시스템이 자동으로 데이터 형태를 변환하는 것 |
강제 형변환 (명시적 형변환) | 개발자가 데이터 형태를 명시적으로 변환하는 것 데이터 손실 우려가 비교적 크다 |
1) 문자형 데이터를 날짜형 데이터로 형변환
CAST(변형할 데이터 as 데이터타입)
2) 숫자형 데이터를 문자형 데이터로 형변환하여 CONCAT 사용
문자형 데이터는 연산시 자동으로 숫자형 데이터로 형변환되기 때문에 CONCAT 함수를 사용하였다.
추가)
문자형 + 숫자형 연산에서 문자형 데이터는 숫자형 데이터로 변환되는데, 숫자형 데이터가 아니라면 문자형 데이터는 0으로 변환된다. 단, 숫자형 데이터로 구분되는곳까지는 변환이 된다.
예시
문자형 데이터 | 변환된 데이터 |
'10a' | 10 |
'a10' | 0 |
'10aa999' | 10 |
'DBMS >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. 내장 함수 (1) (0) | 2024.02.01 |
---|---|
0. 연산자 (비교연산자) (0) | 2024.02.01 |
0. 변수 (0) | 2024.02.01 |
11. 테이블 삭제에 대해서 (0) | 2024.01.23 |
10. 데이터 타입과 제약사항 (0) | 2024.01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