실습에 사용되는 파일은 크게 4가지이다
- login.jsp : 로그인 화면 페이지
- loginProc.jsp : 로그인 처리
- logoutProc.jsp : 로그아웃 처리
- main.jsp : 로그인 성공후 화면 페이지
1. login.jsp
- 로그인 form은 id와 password를 입력받은 input 태그와 버튼 태그로 구성되어있다
- 입력받은 데이터는 request 내장객체에 저장되어 loginProc.jsp 로 전달된다
- 전송 방식은 post 방식으로 설정했다
- 위 스크립트는 loginProc.jsp 에서 로그인 처리 이후 session에 저장한 msg가 있다면 경고창을 띄워주기위해 작성했다
- 메시지 중복 조회를 방지하기 위해 경고창을 띄운 후 Session에서 msg를 제거해주었다
- 경고창 또한 메시지가 있을때만 띄워줄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
2. loginProc.jsp
- login.jsp 에서 전달한 데이터를 request 내장객체의 getParameter를 사용하여 받아준다
- 이때, getParmeter의 반환 타입은 String 이다
유효성 체크 로직이다
전달받은값이 비어있다면 session 객체에 msg를 담아 다시 login.jsp 페이지로 redirection 시켜준다
서비스 로직이다
전달받은 값의 일치여부를 판별한 후 일치하지 않는다면 session 객체에 msg를 담아 다시 login.jsp 페이지로 redirection 시켜준다
유효성 체크와 서비스 로직을 통과했다면 로그인 성공으로 세션에 필요한 개인정보를 담아 main.jsp로 redirection 시켜준다
이때 session.setMaxInactiveInterval(60 * 60) 은 데이터가 세션이 저장되는 시간(초)을 설정할 수 있다
3. logoutProc.jsp
logoutProc.jsp 로 접근할 시 세션의 데이터를 모두 지운다
이후 로그아웃 메시지 창을 띄우는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다시 login.jsp 페이지로 redirection 시켜준다
4. main.jsp
로그인이 성공한 후 띄워지는 main.jsp 페이지이다
session.getAttribute(" ... ") 을 통해 로그인 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가져온다
'JSP&Servlet 활용 > J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SP (10) Download (0) | 2024.04.16 |
---|---|
JSP (9) Servlet 내장객체 (0) | 2024.04.16 |
JSP (7) JspToJs, JsToJsp (0) | 2024.04.15 |
JSP (8) Forwarding, Redirect (0) | 2024.04.15 |
JSP (6) Get, Post 요청 (0) | 2024.04.15 |